<p>잘 쓰여진 법학과 자기소개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p>
<p> </p>
<p><strong>1. 서론</strong></p>
<p>자기소개서의 서론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입학 사정관이 셀 수 없이 많은 양의 지원서에 둘러싸인 책상에 앉아 본인의 자기소개서를 읽고 있다고 상상해봅시다. 모든 자소서가 다 비슷하게 보일 겁니다. 본론이 아무리 좋더라도 서론으로 입학 사정관의 주의를 끌 수 없다면 소용 없습니다. 서론이 낚시대의 갈고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p>
<p>법학과 관련된 인용구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법을 접하게 된 본인의 경험이나 흥미롭게 읽었던 내용으로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p>
<p> </p>
<p><strong>2. 본론 - 왜 법학인지, 왜 나인지</strong></p>
<p>본론은 세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보통이지만,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든 면접 교수님들이 묻는 두 가지 질문에 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
<p> </p>
<p>a) 왜 법학인지 - 왜 법학에 관심이 있는지?</p>
<p>b) 왜 나인지 - 왜 내가 적합한 지원자인지?</p>
<p> </p>
<p><em>왜 법학인지</em></p>
<p>많은 학생들이 이 부분에서 법학에 대한 관심만 전반적으로 서술하고 뒷받침할 이유는 덧붙이지 않습니다. </p>
<p>첫 번째로, 모든 주장은 뒷받침하는 예가 있어야 합니다. “저는 법학을 매우 좋아합니다.” 라는 문장만으로는 설득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증명이 필요합니다. 법학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 무엇을 시도했나요? 무슨 책을 읽었나요? 형사 재판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보기 위해 법원에 가 본 경험이 있나요?</p>
<p>두 번째, 법은 다양한 분야로 나눠져 있습니다. 법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법학이 하나의 큰 과목이라고 생각하지만, 계약, 불법 행위, 국제법 등 많은 세분화된 분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기소개서에는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를 콕 집어 표현해야 합니다. </p>
<p>“자기”소개서이기 때문에 어려운 법률 논쟁은 다루지 마세요. 법조계에 계시는 교수님 앞에서 법률 논론을 언급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p>
<p>또한 특정 분야에 관심이 있는 “자기”만의 이유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열정적인 환경주의자이기 때문에 국제법에 관심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국제법을 통해 기온 변화와 같은 국제적인 이슈 해결에 필요한 국가 간의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 자국의 공공기관과 시민들에게 법의 지배라는 개념이 깊이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법의 지배를 공부하고 싶을 수 있습니다. 항상 특정 분야를 자신만의 이유와 연결 시켜야 합니다.</p>
<p>추천 도서 목록:</p>
<ul>
<li>
<p>Letters to a Law Student, Nicholas Mcbride</p>
</li>
<li>
<p>Is Eating People Wrong?, Allan C. Hutchinson</p>
</li>
<li>
<p>On Liberty, John Stuart Mill</p>
</li>
<li>
<p>Les Miserables, Victor Hugo (remember, you don’t necessarily have to read legal books in order to deepen your understanding of the law!)</p>
</li>
</ul>
<p> </p>
<p><em>왜 나인지</em></p>
<p>왜 법학인지를 설명한 후에 본인이 왜 적합한 학생인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본 단락에서 본인이 유망한 법학과 학생이자 법조인이 가져야 하는 요소를 가졌다는 것을 강조해야 합니다:</p>
<p> </p>
<p>a) 자신의 생각을 효율적이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나요?</p>
<p>b) 우수한 조직 능력을 가지고 있나요?</p>
<p>c) 논리적으로 사고를 하나요?</p>
<p>d) 독립적이고 스스로 동기 부여가 되는 학생인가요?</p>
<p> </p>
<p>자기소개서에 언급하는 모든 자질에 경험이나 활동을 뒷받침해야 합니다. 의사 소통 능력을 언급한다면, 교내 토론 경험이나 토론 동아리에 들어가게 된 이유를 덧붙여 설명할 수 있습니다. </p>
<p> </p>
<p><strong>3. 결론</strong></p>
<p>결론은 확실한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The Economist와 같은 출판된 글을 보면 서론과 결론의 내용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론에서 서론으로 돌아가 독자에게 문장이 잘 정리되어 마무리된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소개서에도 위와 같이 적용시켜 서론의 내용을 발전시키고, 영국 법대에서 공부하고 싶은 의지를 표현하세요. 깊은 뜻을 함축한 인용구로 마무리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