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옥스브리지 화학, 생물, 생화학, 생명과학, 재료공학, 자연과학등의 연구 과학분야 입시에는 여름방학 인턴쉽, 연구실 경험 등은 예전과 달리 필수가 되었습니다.</p>
<p> </p>
<p>2009년 제가 옥스퍼드 생화학 입시 할 때만 해도 연구실 경험을 가진 학생들을 그렇게 많지 않앗습니다 (물론 의대 입시생들에게 병원 work experience는 이때도 필수 였습니다). 요즘 연구 과학 분야 옥스브리지 입시생들 보면 대부분이 연구실, work experience 경험이 있습니다. 작년에 제가 멘토링한 생화학 학생은 옥스퍼드 생화학 교수님께 직접 이메일을 써서 운이 좋게 교수님 연구소에서 여름방학동안 인턴쉽을 할 수 있었습니다.</p>
<p> </p>
<p> </p>
<p><strong>연구 과학 쪽의 연구실 경험이 왜 필수인가?</strong></p>
<p>영국대학 입시 평가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는 학업에 대한 열정때문입니다. 연구실 경험은 입시생의 학업적 열정에 대한 증거인데</p>
<p>첫째, 앞으로 3,4년 전공 과목을 공부하면서 배울 내용을 들을 알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자신이 이 전공과목을 공부하고 싶다는 것에 대해 확신할 수 있다는 점</p>
<p>둘째, 이러한 연구 인턴쉽을 따내기는 쉽지 않고 많이 찾아보고 여러군대 지원해봐야 한다는 점. 이점이 전공과목에 대한 열정을 증명한다는 점.</p>
<p> </p>
<p>“[어떤] 유명한 연구소에서 인턴쉽을 했습니다” 보다는</p>
<p>“[어떤] 연구 프로젝트를 하면서 저는 [어떤] 실험들에 참여하였습니다”처럼 알맹이가 있는 내용을 관심있으셔 합니다. 저는 비록 입시 당시 연구소 경험이 없었지만 제 2016년 옥스퍼드 생화학 입학하는 한 학생의 연구소 경험을 담은 자기소개서 일부분을 공유합니다.</p>
<p> </p>
<p>"With no opportunity to study cell movement at school, I was able to satisfy my curiosity by supporting research students at the Mechanobiology Institute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NUS). Measuring cell locomotion with reference to extracellular matrices, we facilitated cancer cell metastasis through matrix degradation. I also had the chance to explore the role of cancer cells adhesive properties in metastasis while aiding investigation of DLC1, a RHO GTPase that supposedly suppresses cell adhesion and cell invasion. We overexpressed and knocked down the protein DLC I, and measured the change in mammalian cell movement through proliferation assay and cell migration assay. Although at times I found this challenging and difficult to follow, it is a topic I would like to study in greater depth."</p>
<p> </p>
<p> </p>
<p><strong>이러한 연구실 인턴쉽 기회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strong></p>
<p>영국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연구실 경험 기회가 있습니다</p>
<p> </p>
<p>첫째, 대학에서 주최하는 work experience 프로그램, 예 임페리얼 12학년 여름방학 Work Experience 프로그램 <a href="http://www3.imperial.ac.uk/newsandeventspggrp/imperialcollege/administration/outreach/eventssummary/event_4-12-2015-13-31-11">www3.imperial.ac.uk/newsandeventspggrp/imperialcollege/administration/outreach/eventssummary/event_4-12-2015-13-31-11</a></p>
<p> </p>
<p>둘째, 대학내 연구소들을 직접 검색해 본 후 연구소 멤버에게 직접 연락하기. 대부분 영국 대학 연구소는 연구소 연락처를 개방 해놨으니 이쪽으로 이메일 넣으면 됩니다, 예, 옥스퍼드 대학 화학과 Tom Brown 교수님의 Nucleic Acid 연구 그룹 <a href="http://www.browngroupnucleicacidsresearch.org.uk/people">www.browngroupnucleicacidsresearch.org.uk/people</a></p>
<p> </p>
<p> </p>
<p><strong>어떻게 지원해야 인턴쉽 기회를 얻을 수 있을가요?</strong></p>
<p>일단 인턴쉽 동안 어떤 종류의 일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2학년 때 인턴쉽을 안했기 때문에 대학교 2학년 여름방학, 4학년 연구 프로젝트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멘토링 한 입시생들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립니다). 일반 연구소에는 이제 연구소 팀을 총괄 하고 계시는 교수님이 계시고 그 밑에 Post Doctorate 박사학위를 따신 연구원들이 계십니다. 그리고 박사 학위를 따고 계신 분들이 계시는데 인턴들은 대부분 이러한 박사 학위를 따고 계신 분들의 간단한 실험들을 대신 하면서 특정 연구 기술 및 그 분야에 대한 과학을 배웁니다. 여러 연구 기술을 배우러 가는게 아니라 특정 연구 기술을 배워서 간단한 실험들을 함으로서 연구소에도 약간의 도움이 되고 자기 자신이 배우기도 하는 겁니다.</p>
<p> </p>
<p>물론 대학내 여름방학 work experience 프로그램 같은 경우 여러 연구실을 돌면서 배우는 점에 중점을 두는 프로그램들도 있긴 합니다.</p>
<p> </p>
<p>이러한 인턴쉽 기회들은 경쟁이 높고 열정이 증명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만 주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GCSE 성적 보다 중요한 이 열정을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은 전공 과목에 대해 스스로 교과내용이상의 독서를 바탕으로 관심가는 특정 분야 (예, 생물관련 전공같은 경우 면역체계) 그리고 연구소에서 이 분야에대해 더욱 깊게 배워보고 싶은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p>
<p> </p>
<p>따라서 왜 이러한 연구 인턴쉽에 신청하고 싶은지에 대해 편지 혹은 자기소개서를 쓸 때 독서 책, 저널, 기사등, 관련 내용 마지막 경험해보길 희망하는 실험등을 언급해줄 필요가 있습니다.</p>
<p> </p>
<p> </p>
<p><strong>연구원에서 왜 고등학생들을 받아줄까요? </strong></p>
<ul>
<li>
<p>과학에 뜻이 있는 학생들이 연구실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대학 측에서 지지합니다.</p>
</li>
<li>
<p>연구소에서 진행되는 많은 실험들은 박사 및 연구원들에게 반복적이기 때문에 간단한 실험들을 고등학생들에게 가리킨 후 맡깁니다.</p>
</li>
</ul>
<p> </p>
<p> </p>
<p><strong>연구과학 입시생이 아니라면 어떠한 상응하는 준비를 할 수 있을까요?</strong></p>
<p>수학 및 물리는 경시 참가 및 수상 경력이 많은 도움이 되겠고 문과생들은 대학에서 주최하는 에세이 대회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p>
<p> </p>
<p> </p>
<p><strong>연구원 경험에 대한 증명서가 없는데 대학측에서 어떻게 믿나요?</strong></p>
<p>맞습니다 UCAS에 따로 기재하는 란이 없고 자기소개서에서만 이야기 할 수 있는만큼 증명할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연구원 경험은 경험자체에 메리트가 있는게 아니라 자신이 맞는 연구 프로젝트 그리고 프로젝트 내에서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자기소개서에서 이 부분에 대해서 명확하고 자세하게 써놔야 메리트가 있는 겁니다, 예 </p>
<p>"This summer, I was lucky to have another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 lab project at the Beijing Institute of Genomic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where we investigated the genetic difference between high altitude living Tibetians and sea level beings due to hypoxia adaptation. I was given the role of looking at usefulness of an enhancer for the expression of a gene (not published yet) specific for hypoxia induction for which I’ve conducted cloning, maxiprep, artificial mutation under supervision. I especially found the artificial mutation interesting in that it uses imperfect complementary base pairing which in DNA replication could result in cancer to lab research advantage."</p>
<p>메리트가 될 만한 연구 프로젝트라면 교수님께서 인터뷰에서 질문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당연히 교수님께서 학생이 제대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했는지 떠보는 것도 있으니 정말 이 연구 프로젝트를 하지 않았으면 답을 못할 수준의 질문일 것이구요.</p>